분류 전체보기124 파이썬 유니코드의 코드 포인트를 확인하는 ord() 함수의 개념과 활용 파이썬과 같은 언어를 다루다 보면 유니코드를 알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컴퓨터를 다루는 작업에 유니코드는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렇게 함수를 통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그중에서 오늘은 파이썬의 ord() 함수를 살펴보고자 한다. ord() 함수는 문자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반환시켜 주는 내장 함수다. ord() 함수는 어떤 특징과 활용 사례가 있는지 살펴보자.유니코드 (Unicode)유니코드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된 표준 문자 인코딩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언어의 문자와 기호를 하나의 통일된 방식으로 다룰 수 있으며, 각 문자에는 고유한 코드 포인트가 할당되어 있다.ord() 함수의 개념파이썬의 ord() 함수는 지정된 문자를 해당.. 2024. 5. 25. 파이썬 문자열을 평가하는 eval() 함수의 개념과 활용! 파이썬의 내장 함수인 eval() 함수는 문자열로 된 파이썬 코드를 실행시켜주는 함수다. 함수 이름의 eval은 evaluate에서 유래되었으며, 단어의 의미 그대로 “평가하다”, “계산하다”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말 그대로 코드를 평가할 때 이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연산이나 함수 호출 등의 문자열 코드를 실행시키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과 개념은 간단하기 때문에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eval() 함수의 개념eval() 함수는 파이썬에서 문자열로 표현된 파이썬 표현식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다. eval() 함수는 동적으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그만큼 매우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문자열 평가eval.. 2024. 5. 24. 파이썬 소스코드를 컴파일하는 compile() 함수의 개념과 활용! 개발을 하다 보면 소스코드 내에서 문자열로 구성된 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겪어보지 않았다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지만, 일을 하다 보면 생각보다 자주 있기 때문에 어떤 개념인지와 활용 예제를 통해서 하나씩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compile() 함수의 개념compile() 함수는 파이썬 코드를 컴파일하여 코드 객체를 반환하는 내장 함수다. 일반 문자열로 표현된 파이썬 코드를 실행 가능하도록 컴파일 시켜준다.컴파일compile() 함수는 파이썬 코드를 컴파일하여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며,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수행되는 단계다.코드 객체compile() 함수는 컴파일된 코드를 나타내는 코드 객체를 반환한다. 이 코드 객체는 eval() 함수나 exec() 함.. 2024. 5. 23. vue 통신 가로채기 axios interceptor의 개념과 활용! SPA 개발을 하다 보면 axios로 통신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서버와 분리된 환경이다 보니 로그인 정보는 token을 이용해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axios의 interceptor를 활용한다면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를 보통 요청 가로채기라고 하는데, 통신 요청 직전을 가로채서 원하는 작업을 먼저 처리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그럼 axios의 interceptor는 어떤 방식으로 처리가 되는지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자.예제 코드는 모두 vue에서 작업을 진행하였다.vue3, axiosinterceptor란?인터셉터(interceptor)는 소프트웨어에서 통신 중에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전이나 후에 먼저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처리해 주는 역할이다. 보통 HTTP 요.. 2024. 5. 22. 파이썬 객체를 탐색하는 dir() 함수의 개념과 활용! 파이썬에서 dir() 함수는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나열해 주는 기능이다. 작업 중인 코드에서 특정 객체의 내부 속성을 조회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알아두면 종종 활용될 것 같아서 이 함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dir() 함수의 개념dir() 함수는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장 함수중 하나로, 특정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나열시켜주는 기능이다. 이 함수는 객체의 스코프 탐색을 하여 사용 가능한 기능을 살펴보는데 유용한 함수다.기능 탐색dir() 함수를 사용하면 파이썬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을 탐색할 수 있다. 특히 대화형 셀에서 객체를 조회하거나 디버깅할때 유용하다.출력dir() 함수는 해당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문자열 리스트로 반환한다. 비공개 속성기본적으로 dir() 함수는 객체의 .. 2024. 5. 21. 파이썬 정렬 함수 sorted()에 대한 개념과 활용! 파이썬에서 sorted() 함수는 정렬을 도와주는 함수중 하나다. 프로그래밍에서 정렬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능 중 하나다. 어떤 언어에서든지 필요한 기능이긴 한데, 파이썬의 sorted() 함수는 어떤 특징과 성능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자.sorted() 함수의 개념sorted() 함수는 반복 가능한 객체(리스트, 튜플 등)를 기준으로 해당 객체를 정렬한 새로운 객체를 반환한다. 새로운 객체를 반환하기 때문에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원본 데이터sorted() 함수는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하기 때문에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다.정렬기본적으로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며, reverse=True 인자를 사용하면 내림차순 정렬로 반환한다.정렬 기준key 인자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지정.. 2024. 5. 20. 이전 1 2 3 4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