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Java

[java] 자바 문법 에러 Unexpected internal error near index 1 해결하기 (split 에러)

by 산코디 2023. 1. 13.

오늘은 자바의 문법 에러 중 "Unexpected internal error near index 1 \" 내용의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리해보려고 한다.
해당 에러 내용은 보통 정규 표현식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인데 에러 내용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이 정규 표현식 백슬래쉬( \ )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내용이다.

 


에러 발생 원인 유형

"Unexpected internal error near index 1 \" 에러는 보통 정규 표현식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데, 백슬래쉬 ( \ )는 정규 표현식에서 이스케이프 문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백슬래쉬 뒤에 오는 문자가 유효한 정규 표현식 패턴이 아닌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잘못된 이스케이프 문자
백슬래쉬 뒤에 유효하지 않은 이스케이프 문자가 오는 경우 발생한다. 예를 들어, "\a"나 "\b"와 같이 유효하지 않은 이스케이프 시퀀스가 있는 경우다.

정규 표현식 안의 백슬래쉬 사용
정규 표현식에서 백슬래쉬는 이스케이프 문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백슬래쉬를 정규 표현식 패턴 안에서 사용할 때에는 두 번 이스케이핑해야 한다. 예를 들어, "\\"는 백슬래쉬 문자 자체를 매칭하는 정규 표현식이다.

문자열 안에서 백슬래쉬 사용
문자열 안에서 백슬래쉬를 사용할 때에도 이스케이핑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백슬래쉬를 포함한 파일 경로나 URL 등을 다룰 때 주의해야 한다.

JSON 파싱 중 발생하는 오류
JSON 문자열을 파싱할 때에도 백슬래쉬 관련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JSON 문자열에 유효하지 않은 이스케이프 시퀀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백슬래쉬가 올바르게 사용되었는지 확인하고, 정규 표현식 패턴이나 JSON 문자열에 유효한 구문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스케이프란?
이스케이프(escape)란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문자나 문자열을 특별한 의미로 해석되지 않고 원래의 문자 그대로 취급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스케이프는 주로 특수 문자를 나타내거나, 문자열 안에서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스케이프 문자는 주로 문자열 안에서 사용되며, 해당 문자를 출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은 새로운 라인으로 이동하고, "\""은 큰 따옴표를 출력한다.
또한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정규 표현식이나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특수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스케이프 문자는 각 언어나 도메인에 따라 다르며, 해당 언어나 도메인의 규칙에 따라 사용되어야 한다.


에러 발생 예제 소스 코드

에러 내용 마지막에 보게 되면 '\' 구문이 나와 있다. 그리고 에러를 발생한 exception은 친절하게 regex.Pattern.error에서 발생이 났나고 알려준다. '\' 문자는 예약된 정규식 문자라서 일반 문자와 함께 쓸 때는 '\\' 두 개를 붙여서 써줘야 하며, 위의 에러를 발생시켜 해결을 해보도록 하자.

예제 소스 코드

package com.demo.system;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public class Tes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litTest("abcsefg", "\\");
	}
    
    /**
     * split을 이용한 정규식 문자 테스트 method
     */
	public static void splitTest (String originData, String regex)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 원본 데이터 : " + originData);
	    System.out.println("* 정규식 문자 : " + regex);
	    System.out.println("---------------------------------------------");
		
	    String regexData = Arrays.stream(originData.split("")).collect(Collectors.joining(regex));
	   
	    System.out.println("* 원본 + 정규식 데이터 : " + regexData);
	    System.out.println("---------------------------------------------");
	    
	    String [] arr = regexData.split(regex);
	
	    int arrLength = arr.length;
	
	    System.out.println("* split size : " + arrLength);
	    System.out.println("---------------------------------------------");
		
	    for (int i = 0; i < arrLength; i++) {
	    	System.out.println(arr[i]);
	    }
	}
}

간단하게 split을 이용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 인자값으로는 문자열과 정규식 문자를 받도록 하였고, 정규식 문자를 일반 문자열 사이에 넣어주고 정규식 문자를 기준으로 split을 하는 코드다.


실행 결과

 

일반적으로 split("\\")을 수행했을 때에는 동일한 에러가 발생을 한다.
결과적으로 위의 에러가 발생한 원인은 "\\"를 기준으로 split을 시도하면서 발생한 원인이고, "\\"를 기준으로 split을 할 때에는 앞에 \\를 추가로 붙여줘야 한다. 

String [] arr = regexData.split("\\" + regex);

그래서 regex 앞에 "\\"를 추가로 붙여줬다.

"\\" 기준으로 정상 split 처리된 결과

 

특수문자, 정규식 문자를 사용할 때에는 위와 같은 문법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크기 때문에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도 좋다.

 

반응형

백슬래쉬 ( \ ) 사용 시 주의사항

자바에서 백슬래쉬 ( \ )는 이스케이프 문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문자열 리터럴 내에서 이스케이프

문자열 리터럴 안에서 백슬래쉬를 사용할 때에는 이스케이프 문자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줄 바꿈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n", 탭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t"와 같이 백슬래쉬를 사용한다.

정규 표현식에서 이스케이프
정규 표현식에서 백슬래쉬도 이스케이프 문자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규 표현식 안에서 백슬래쉬를 사용할 때에는 이스케이핑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백슬래쉬 자체를 매칭하려면 "\\\\"와 같이 사용한다.

파일 경로 처리
파일 경로를 다룰 때에는 백슬래쉬가 디렉토리 구분자로 사용되는데, 이는 윈도우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자바에서는 파일 경로를 나타낼 때 슬래쉬( / )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자바에서는 파일 경로를 다룰 때에는 백슬래쉬를 슬래쉬로 변환해주는 것이 좋다.

유니코드 이스케이프
유니코드 문자를 나타낼 때 백슬래쉬와 u를 사용하여 이스케이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 "가"는 \uAC00로 표현이 가능하다.

문자열 분석 및 처리
문자열을 분석하거나 처리할 때, 백슬래쉬가 포함된 경우 이를 적절히 처리해야 한다. 특히 파일 경로를 다루거나 정규 표현식을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백슬래쉬 사용 시 주의사항을 명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문자열 처리와 파일 경로 다루는 등 자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처리할 때에는 더욱 더 주의깊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마무리

에러 원인
"\"는 예약된 정규식 문자로 split()에 바로 넣고 실행하게 되면 'Unexpected internal error near index 1' 문법 에러 발생

해결 방법

split("\\\\")

사용하고자 하는 정규식 문자 앞에 "\\"를 붙여준다.



오늘은 자바의 문법 에러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에러의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했지만, 에러를 해결하면서 정규 표현식와 이스케이프에 대해서 다시한번 정리하고 학습할 수 있었다.
정규 표현식에 대한 내용은 항상 주의깊게 다뤄야 하며, 자바가 아닌 다른 언어를 배우고 사용하게 되더라도 대부분은 유사하기 때문에 반드시 학습하는 것이 좋다. 에러가 나지 않는다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는 좋겠지만 에러를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에 종종 이렇게 에러가 발생하면서 다시한번 숙지를 해야겠다.

 

반응형